기사 메일전송
현대자동차그룹, 엔비디아와 함께 AI 기반 모빌리티 혁신 가속화
  • 최슬기 기자
  • 등록 2025-10-31 17:01:54

기사수정
  • APEC 현장에서 ‘블랙웰’ 기반 차세대 AI 팩토리 구축 협력 발표… 피지컬 AI 생태계 조성 본격화
  • 30억 달러 투자로 국내 AI 기술·인재 양성… 스마트팩토리·자율주행·로보틱스 동시 강화
  • 정의선 회장 “대한민국 AI 생태계 공동 구축…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할 것”

현대자동차그룹이 엔비디아와 손잡고 AI(인공지능) 기반 모빌리티 혁신의 속도를 높인다. 두 회사는 차세대 AI칩 ‘엔비디아 블랙웰(NVIDIA Blackwell)’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팩토리를 구축해 자율주행, 로보틱스, 스마트 팩토리 등 전방위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과 엔비디아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APEC 현장에서 ‘AI 기반 모빌리티 설루션 강화 및 피지컬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양사의 기존 파트너십을 한 단계 발전시켜, AI를 실제 제조와 이동 환경에 접목하는 ‘피지컬 AI’ 중심 혁신을 본격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양사는 블랙웰 GPU 5만 장을 활용해 통합 AI 모델을 개발·검증·실증하는 한편, 약 30억 달러를 투입해 ▲엔비디아 AI 기술센터(AI Technology Center) ▲현대자동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국내 데이터센터 설립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 AI 연구와 인재 양성, 산업 전반의 제조 AX(Advanced Transformation) 혁신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날 함께 체결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현대자동차그룹-엔비디아 3자 간 업무협약(MOU)은 정부 주도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 사업과 연계된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한국이 AI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제조 중심의 피지컬 AI 육성은 필수”라며 “한국의 풍부한 제조 데이터와 엔비디아의 최신 AI 인프라가 결합해 산업 전반의 윈-윈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는 AI 기반 모빌리티와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도약”이라며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공동 구축하고, 인재 육성과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까지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AI는 모든 산업의 근본을 바꾸고 있다”며 “현대자동차그룹과 함께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구현해 향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를 중심으로 ▲AI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기술을 통합하는 지능형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그룹은 이미 엔비디아의 ‘DGX™’ 시스템을 통해 대규모 AI 학습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고, ‘옴니버스™(Omniverse™)’와 ‘코스모스™(Cosmos™)’를 결합한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축 중이다. 이를 통해 제조 공정 최적화,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검증, 로봇 자동화 등 전 과정을 AI로 통합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토르™(DRIVE AGX Thor™)’를 차량용 AI 브레인으로 도입해 차세대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지능형 인포테인먼트, OTA 기반 성능 개선 등 미래 차량 경험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특히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와 ‘아이작 심™(Isaac Sim™)’ 플랫폼을 활용해 공장 디지털 트윈과 로봇 시뮬레이션을 구현, 로봇 통합 속도를 높이고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다. 예지보전과 가상 커미셔닝 등 첨단 기술도 도입해 완전 자율형 스마트 팩토리 전환을 앞당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차와 공장을 개별 시스템이 아닌 하나의 상호 연결된 지능형 생태계로 발전시키겠다”며 “AI 팩토리와 피지컬 AI 기술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영상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해남, 국가AI컴퓨팅센터 유력지 확정… ‘대한민국 AI수도’로 도약 해남군이 삼성SDS 컨소시엄의 국가AI컴퓨팅센터 유력 대상지로 사실상 확정되며, RE100 국가산단·오픈AI·SK 데이터센터 유치에 이어 ‘대한민국 AI수도’로 도약할 준비된 도시로 부상했다.해남군이 삼성SDS 컨소시엄의 국가AI컴퓨팅센터 유력 대상지로 사실상 확정되며, RE100 국가산단·오픈AI·SK 데이터센터 유치에 이어 ‘대한민국 AI수도’로...
  2. 전라남도, 생태관광도시 함평군 서남권 중추도시로 육성한다 전라남도가 함평군을 ‘대한민국 생태관광 대표도시’로 육성하고, 빛그린 국가산단을 기반으로 한 ‘초광역 K-모빌리티·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 유치를 추진한다.
  3. 국립목포대학교, 후문 상권 살리기 프로젝트 ‘청계 후문 골목축제’ 성황리에 개최 국립목포대학교는 지난 10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간 청계동 후문 인근 상권에서 ‘청계 후문 골목축제’를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되며, 지역 상가 12곳이 참여해 막걸리 시음회와 청년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대학과 지역 상권, 주민이 함께 어우러진 이번 행사는 침체된 후문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
  4. 정청래 “지방선거 권리당원 참여 전면 확대…내리꽂는 일 없을 것”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발대식에서 “가장 많은 권리당원, 전체 구성원이 경선에 참여하는 게 지방선거 승리의 가장 큰 주춧돌”이라며 내년 6·3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 참여를 전면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도부가 후보를 ‘내리꽂는’ 식의 방식은 없을 것이라 강조했고, 부적격자 기...
  5. 대한민국 치유길 1호 신지 명사십리. 맨발 걷기 명소 우뚝 2025 해양치유 전국 맨발 걷기 축제 사진 전남 완도군의 신지 명사십리가 지난 ‘24년 10월 ‘대한민국 맨발 걷기 치유길 1호’로 공식 선포되며 맨발 걷기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대한민국 맨발 걷기 치유길 1호’는 3.8km의 모래 해변과 더불어 1km의 황톳길, 해송 숲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맨발 걷기에 최적이다.특히 모래 입.
  6. 전남교육청, 대불초등학교서 다문화교육 현장 소통 강화 전라남도교육청은 10월 15일 영암군 소재 대불초등학교를 방문해 다문화교육을 주제로 한 현장 소통 시간을 가졌다. 교육청은 다문화학생과 가족, 교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자리에서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포용적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7. 곡성군, 인구소멸 위기에 맞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 참여 전남 곡성군이 심각한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 나섰다. 현재 인구 약 2만7천명대인 곡성군은 이 사업을 통해 주민에게 지급하는 기본소득을 도입,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의 생활안정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